
쉬고 또 쉬어라'
- 청화스님 -
벽암록(碧巖錄)에
휴거헐거(休去歇去)라는 말이 있습니다.
쉬고 또 쉬어라,
상대 유한적(相對有限的)인 분별시비를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이 말씀은 누구와 아무런 얘기도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말 한마디에나 어느 순간에도
부처님의 가르침인 진여법성(眞如法性) 자리에서
비추어서 하라는 것입니다.
제법공(諸法空)의 자리,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자리에서 보아야 바로 보이는 것이지
그렇지 않으면은 바로 보일 수가 없습니다.
본질적인 관조(觀照)는 바로 우리 마음을 본질적으로 성숙케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화두를 드는 것이나 염불하는 것이나 근본 의도가 어디에 있는가?
그것은 우리의 상대적인 개념지식, 헤아림을 떠나버린
본체를 여의지 않기 위해서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 말이나 행동 하나하나는
우주의 근본 도리, 법성 도리에 입각해서 하라는 말이나 같은 뜻입니다.
마땅히, 우리는 상대적이고 개념적이고 유한적인 지식은 휴거 헐거라,
쉬고 또 쉬어버려야 합니다.
지금 우리에게 진여법성(眞如法性)이 발현(發現)되지 못하는 것은
마음을 쉬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휴거 헐거(休去歇去)라, 그러면 철수개화(鐵樹開花)라,
쇠로 된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신비로운 것이나 부사의(不思議)한 소식을
보통은 눈에 안 보이는 것이라 무시합니다마는
천지 우주 자체가 부사의 덩어리요 신비의 창고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정말로 마음을 쉬고 또 쉴 때는
자기도 모르게 자기한테 있는
초인적인 힘이 발휘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분별심으로 해서 초인적인 부처의 힘을 막고 있는 것입니다.
'쉬고 쉬어라. 그러면은 쇠로 만든 나무에서 꽃이 피어난다'
마음 쉬는 지름길이 참선(參禪)입니다.
가장행복한공부 |